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기술개발

KR 장입 Ladle Top Bubbling Device System 개발
(Development of KR based Ladle Top Bubbling Device System)

특허 제10-0632132호 래들 용강 순환용 아르곤 버블링 파이프 argon bubbling pipe

<개선전>

현상 / 문제점
KR장입 Ladle 상부에 부유하는 불순물인 Slag을 제거하기위해 Skimmer Plate를 이용한 배제작업과 Bottom Bubbling을 병행하는데 Bottom Bubbling 방식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존재

1. Porous Plug 이상마모시 용선유출 사고 위험성 존재

2. Ladle 수리, 보수 및 유지관리에 고비용 소요
(Porous Plug 마모에 따른 Ladle 연와 교체비용)

<개선후>

개선내용​
Porous Plug을 이용한 Bottom Bubbling 방식에서 Lance을 이용하여 상부에서 Bubbling을 실시하는 Top Bubbling 방식으로 변경.
-> 용선유출에 대한 Risk 해소
-> 배제기 행정거리 단축 (배제시간 단축, 수명 향상)
-> N2 압력 조정가능으로 Bubbling 효과 향상

3KR 장입 Ladle Top Bubbling Site Test

– 후 배재 작업 시 초기 Slag 배재 후 Top bubbling 침적 Lance 투입
– 침적 Lance 침적 깊이 및 용선 상부에 부유하는 Slag양 감소에 따라 나탕 현상 관찰
-> bubbling에 의해 배재 방향으로 Slag 이동 확인

[SNNC 전기로] 용선 및 용강 유출 방지 장치

특허 제10-1428559호 용선 및 용강 유출 방지장치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LOSS OF MOLTEN HOT METAL AND INGOT STEEL

<개선 전>

<개선 후>

현상/문제점

Porous Plug 마모, 파손 현상으로 인한 용강유출 현상 발생

1. Bottom Bubbling용 질소Gas 배관을 Ladle 하부에
직접 연결
2. Porous Plug 마모, 파손현상으로 인한 용강 유출 현상 발생

개선내용

내부 잔류압이 철정압에 대한 대응압으로 작용
저융점 금속체와의 응고물 형성으로 용강 유출을 차단
질소 또는 알곤 가스배관을 용선유출방지 Plug에 연결 후 Ladle 하부에 기존과 동일하게 연결, 용강 유출방지 Unit 개발 및 설치
-> 자동 공정으로 통한 공정 시간 단축
-> 탈류 공정 용강상태 균일화
-> 개공율 향상
-> 조업자의 안전사고 예방

현상 TEST (개발결과)

본 장치는 4중 안전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첫번째와 두번째 안전장치 경우 쇳물이 유입 시 빠른 시간 내에 쇳물을 냉각 시키기 위해 쇳물에 비해 용융점이 맞은 금속을 이용하여 금속이 쇳물이 접촉 시 응고되어 쇳물의 유출을 방지하는 안전장치이다.

세번째 안전 장치 경우 Ball 부분과 Seat부분의 면과 점의 접촉을 통해 Sealing이 되어 쇳물의 유출을 방지한다.
또한, 네번째 안전 장치의 경우 세번째 부분까지 쇳물이 유입 시 유입된 쇳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이중으로 되어 있다.

전기로 출강구 Tube Sleeve Brick 교환장치

특허 제10-2573696호 용해로용 내화 슬리브의 교체장치 APPARATUS FOR EXCHANGING FIREROOF SLEEVE OF SMELTING FURNACE

출강구 교환작업 [기존 작업 순서]

1. 출강 후 로벽 Spray
2. 출강구 Hole 상부 해체 [포크레인 사용]
3. 기존 출강구 대차 이용 [해체 및 조립]
4. 해체 후 Tube Set Hyd’ Unit 이용 조립

개요

전기로의 출강구 Tube Sleeve Brick 탈. 장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기로의 출강구 교체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도록 구성 개발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기위한 장치이다.

용강을 하부 배출식으로 출강하는 전기로 방식일 경우, 출강구를 통하여 출강작업을 진행하면 적정횟수만큼의 조업을 시행했다면 출강구의 마모나 융착 등의 원인으로 출강구(Tube Sleeve Brick)를 교체하여야 한다.

통상적으로 출강횟수가 약100회 정도에 도달하면 출강구의 수명이 다하여 교체작업의 수요가 발생하는 상황이며, 이는 24시간 연속조업의 기준으로 1회 출강 Cycle Time이 약 1시간이 걸리지 않고 평균적으로 교체주기가 4일-5일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출강구 Tube Sleeve Brick 탈. 장착이 용이하게 설계되어 안전하고 빠른 시간안에 교환이 가능하도록 설비 구성이 되어야 한다.

문제점
· 기존 Tube Sleeve Brick을 탈.착 설비가 없어 포크레인사용 : 준비시간 과다소요와 안전문제 발생
· X-Lift 방식으로 Frame 뒤틀림 발생
· 위치 Setting으로 시간 과다 소요
· 안전장치 및 로 안쪽에서 비산되는 모래 등으로 인하여 상당한 안전 문제 발생

개선내용

· 해체(탈.착) 및 장착이 가능한 설비
· Up/Down Frame의 지지 기반을 Beam으로 하여 뒤틀림 방지
· Load-Cell 사용으로 뒤틀림, 힘의 균형 및 과도한 힘의 전달을 사전에 차단 가능

<Puller Position / Pusher Position>

<Lifting Guide>

<탈 부착이 가능한 출강구 교환장치>

전라남도 관양시 옥곡면 금촌길 1-22
Call : 061-772-7781~5
Fax : 061-772-7746

© Copyright 하나테크 All rights reserved.
Design by 티제이웹 | admin

전라남도 광양시 옥곡면 금촌길 1-22Call : 061-772-7781~5Fax : 061-772-7746

© Copyright 하나테크 All rights reserved. Design by 티제이웹 | admin